설날에 복조리를 거는 까닭은

|


설날에 복조리를 거는 까닭은


우리 풍속에 음력 정월 초하룻날이나 대보름날이 되면 집안에 조리를 새로 걸어두는 풍습이 있었다. 이렇게 하면 집안으로 복이 들어오거나 복이 일어난다고 여겼다. 본래 조리는 쌀을 이는데 쓰이지만, 복이 쌀 일 듯 일어나라는 바람에서 조리를 걸어두었던 것이다. 초하룻날 거는 조리를 특별히 ‘복조리’라 불렀던 것도 그 때문이다.


과거에는 새해 첫날이 밝으면 마을마다 복조리를 팔러 다니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가 있었다. 복조리를 일찍 사서 일찍 걸어둘수록 복도 일찍 들어온다는 속설이 있어서 옛날 사람들은 초하룻날 새벽부터 잠을 설치며 복조리를 돌리는 사람을 기다리곤 하였다. 복조리를 돌리던 복조리 장수는 전문 장사꾼이라기보다는 마을의 청년들이나 부녀회의 아녀자들이 대부분이었다. 마을에서 만든 복을 마을에서 돌림으로써 복이 마을에 돌아다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부뚜막 가마솥 위의 조왕신 모시는 '조왕중발'과 그 옆에 걸어둔 복조리.


과거 새로 사서 걸어둔 조리에는 건강과 복을 비는 마음에서 실과 성냥 등을 담아두기도 했는데, 한해가 지나면 이를 태우고 새로운 조리를 걸어 새로운 복을 기다렸다. 그러나 이제는 새해 아침이 밝아도, 복조리를 돌리는 사람이나 복조리를 사려는 사람을 아예 볼 수가 없다. 언제부턴가 우리는 마음에서 그렇게 스스로 복을 멀리 하고, 복을 기다리는 것을 미신으로 여기고 있는 게 분명하다.


더구나 최근에는 복조리마저 중국산이 판을 치고 있다. 산청군 중산리 복조리마을에서 만난 이정구 씨에 따르면 요즘 중국산 복조리가 대량으로 수입되는 바람에 복조리마을에서 만드는 전통 복조리값이 말이 아니라고 한다. “그 전에는 동네가 싹 다 만들었다 아입니까. 근데 이제는 이것도 사양길이 돼가꼬, 참 힘듭니다.” 복조리까지 중국산이 들어와 점령할 줄은 이들도 생각조차 못한 일이다. 물론 모양이나 품질을 보면 중국산과 우리 전통 복조리는 비교도 안된다. 그냥 한눈에 척 봐도 중국산은 조잡하기가 이를 데 없다. 그런데도 이런 복조리를 버젓이 걸어놓고 복을 기다리는 사람들도 있으니, 거기에 어떤 복이 들어올지 자못 궁금하다.


* 구름을 유목하는 옴팔로스:: http://gurum.tistory.com/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