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보던 아기냥 로드킬당하다
달포전 집앞에서 희미하게 고양이 우는 소리가 들렸다.
차 밑을 들여다보니 이제 겨우 젖을 떼고 먹이 동냥을 나온 듯한
기껏해야 달포쯤 세상 구경했을 법한 아기 길고양이였다.
늦은 밤이었고,
녀석은 배가 고픈지 힘없이 모기소리만하게 울고 있었다.
나는 집으로 들어가 먹을 것을 챙겨나와
녀석이 있는 차 밑으로 그것을 밀어넣었다.
하지만 녀석은 겁에 질렸는지 다른 차 밑으로 도망가 나올 생각도 하지 않았다.
결국 내가 자리를 피하는 수밖에 도리가 없었다.
한참 뒤 차 밑을 들여다보니 말끔하게 다 비웠다.
그렇게 녀석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다음날 외출을 하려고 집을 나서는데, 이번에도 고양이 우는 소리가 들렸다.
어젯밤 보았던 그 녀석이었다.
그날 이후 녀석은 매일같이 우리 집앞을 찾아왔고,
나는 그런 녀석에게 먹이를 주며 보살펴왔다.
녀석에게 나는 ‘꼭잡이’라는 이름도 붙여주었는데,
‘꼭 잡아’ 집에서 키우고 싶다는 옆집 아이의 소망을 담은 이름이었다.
녀석을 만난 지 거의 열흘 정도 지났을 때다.
한번은 집앞에서 동네가 떠나갈 듯한 소리가 들렸다.
“이 놈의 고양이 새끼들...누가 또 먹이 줬어~!”
우리 동네 청소부 아줌마였다.
아줌마는 장대 빗자루로 차 밑에 있던 고양이를 쫓아내며
들으라는듯 “어떤 새끼가 그랬어?” 하며 큰소리를 냈다.
고양이를 싫어하는 사람이 있다는 건 충분히 이해하지만,
그렇다고 집앞의 고양이까지 빗자루로 내쫓는 건 이해할 수가 없다.
어쨌든 그날 아침 꼭잡이도 그 차 밑에 있었던 모양이다.
녀석은 이후 거의 일주일 넘게 집앞을 찾지 않았다.
아기 길고양이로써 처음으로 당하는 봉변에 적지않게 놀란 게 분명하다.
녀석이 다시 집앞을 찾아온 건 그 사건이 있은 지 거의 열흘 만이었다.
녀석은 배가 등에 붙을 정도로 말라 있었다.
나는 녀석에게 먹이와 함께 물도 챙겨서 차 밑에 넣어주었다.
녀석은 허겁지겁 먹이를 다 먹고 물도 마셨다.
그리고 다시 꼭잡이는 매일같이 집앞을 찾아왔다.
2주일 전부터는 차 밖으로까지 나와 앉아 있을 정도로
경계심도 많이 없어진 상태였다.
집앞에 오는 깜냥이나 외출이, 점냥이와도 이제는 스스럼없이 어울렸다.
아니 오히려 이제는 넉살좋게 먼저 녀석들에게 다가가
이마를 부비기도 했다.
그렇게 한달 반 정도의 시간이 흘렀고,
오늘 아침이었다.
밖에서 등교하는 아이들의 웅성거리는 소리가 들려왔다.
“고양이가 죽었어!”
예감이 좋지 않았다.
밖으로 나가보니 동네 삼거리 쯤 길 한복판에 고양이 한 마리가 죽어 있었다.
로드킬당한 고양이였다.
아, 아니기를 바랐지만, 다가가서 보니 꼭잡이 녀석이었다.
새벽쯤 차에 치인 것으로 보인다.
현장은 참혹했다.
차에 부딪친 것이 아니라 바퀴에 깔려 죽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 가지 이상한 일이 있었다.
외출이와 깜냥이가 로드킬당한 꼭잡이 주변을 왔다갔다 하면서
평소와는 다른 울음을 울고 있었다.
그것은 마치 꼭잡이를 저 세상으로 보내는 마지막 장례의식처럼 보였다.
그랬다. 녀석들은 그들만의 장례의식을 치르고 있었던 거다.
잠시 후 꼭잡이의 주검은 청소부 아저씨의 손에 치워졌다.
몇 달 전 희봉이와 깜냥이의 어미냥이기도 했고,
주황색 아기냥을 낳았던 ‘랑이’도 동네 골목에서 로드킬당했다.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 등에서 길고양이는 수도 없이 로드킬당하고 있다.
동네 골목길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다음 카페에서 나는 이런 충격적인 댓글을 발견한 적도 있다.
“고양이는 재수없다. 운전할 때 고양이가 보이면 그냥 깔아뭉갠다.”
아마도 그는 자식에게는 생명의 소중함을 가르치는 인자한 아빠의 모습일지도 모른다.
야생동물 로드킬을 다룬 <어느 날 그 길에서>라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있다.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이것이다.
이기적인 인간의 도로는 대부분 야생동물의 영역 위에 건설된 것이다.
그런데도 늘 인간은 자신들만이 이 땅의 주인이라고 생각한다.
속도를 늦춰야 하는 것은 인간이고, 자동차이지 동물은 아니다.
동물은 언제나 자신만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말한다.
도둑고양이는 재수없고, 비위생적이며 시끄럽다고.
그러나 고양이보다 더 재수없는 인간도 많다.
이를테면 정치하는 인간들, 사기치는 인간들, 유괴하는 인간들, 오폐수 흘려보내는 인간들.... 너무 많다.
이 세상을 가장 비위생적으로, 환경을 망친 장본인도 인간이며,
지구에서 가장 시끄러운 소음을 내는 집단도 인간이다.
사실 인간은 지구상의 어떤 생명에게도 뭐라고 말할 자격이 없다.
이제껏 지구를 이 따위로 망쳐논 장본인이 바로 인간이기 때문이다.
이야기를 하자면 끝이 없다.
녀석은 태어나서 이제껏 기껏해야 3개월쯤 세상 구경을 했다.
그 세상이 아름다웠는지, 어땠는지는 알 수 없다.
길 위의 삶을 펼쳐보지도 못한 채 아기 길고양이는 그렇게 세상을 떠났다.
부디 다음 세상에서는 인간 없는 세상에서 태어나기를....
녀석에게 이번 세상은 너무 가혹했다.
* 구름을 유목하는 옴팔로스:: http://gurum.tistory.com/
'길고양이 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구하는 길고양이 (6) | 2008.10.15 |
---|---|
너무 다정해, 길고양이 남매 (22) | 2008.10.13 |
좌절금지 2 (23) | 2008.10.09 |
하품의 고수 (13) | 2008.10.04 |
아기냥 3남매 여름나기 그후 (18) | 2008.09.30 |
돌보던 아기냥 로드킬당하다 (467) | 2008.09.19 |
버림받은 외출 고양이 (7) | 2008.09.16 |
고양이 수염에 이런 비밀이 (10) | 2008.09.09 |
고양이의 눈 (14) | 2008.09.07 |
고양이는 인사 어떻게 할까 (18) | 2008.09.04 |
길고양이 포즈도 가지가지 (10) | 2008.08.31 |
- 이전 댓글 더보기
-
헉 2008.09.20 11:19
고양이 보다도 못하게 살다가 가는 인간들도 수도 없이 많은데... 그렇게 할일이 없었나 ?
고양이 생애를 사진까지 찍어 가며 올리게.... 쯪쯪.... 원래 동물이란 처음 부터 야생성을 가지고 태어 낳고
인간이 길 들여서 동물 세계를 망친 것이야.
그러니깐 객관적으로 볼때 인간이 사는 세상도 야생의 세계라 할수 있으며
이글을 쓴사람은 야생에 사는 고양이를 먹이를 주어가며 죽게 만든것이지...
인간도 동물의 한 종류이고 인간만이 나쁘다 할수는 없다.
꼭 하는짓이 시내 차량에 돈들여가며 개그림 붙여 "살고 싶어요 살려주세요" 하는 짓과 같다고 본다.
소,돼지,고양이,쥐,등등... 인간도 살고 싶다. 생노병사 의 순리는 하늘의 이치며
그것이 인간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는 아니라는 것이다.
인간 세계에서 자신들의 편의를 위하여 스스로의 개체를 줄리고 핵가족화 해 가며 생활한 결과는 무었을 만들었는가 ?
물론 나라마다 다르지만 동양 같은 경우는 혈연의 가족이다.
그런데 핵가족화 되어 가며 서구화 되어가고 있다.
서구화는 가족의 구성의 개념이 사회의 개념이다.
그들의 사상은 피를 나눈 형제가 아니라도 백인 흑인 황인 짬뽕으로 같이 사는 것이다.
동양 사상의 가족이라 하는 것은 정상적인 아버지와 어머니의 피를 밭아서 형제를 이룬것을 가족이라 한다.
그런데 핵가족화 되어 자식을 하나 또는 둘을 낳고 살면서 맞벌이로 가정의 부재가 되다 보니
동양사상의 가족이란 개념이 깨져 버리는 것이다.
부부가 맞벌이로 사회생활의 경제 능력을 같게 되다보니 쉽게 이혼도 하고 쉽게 재혼도 하고
그 속에서 태어난 하나 또는 둘의 형제들은 부모의 이기주의로 가족의 개념에서 벗어나 배회 하거나
애완동물을 키워 가족의 정을 거기에 의존 하게 된다.
그렇게 되다 보니 인간이 하등의 동물로 인정해야 할 것들을 가족의 개념에 두고 살게 되는 것이다.
동물은 인간이 보호해야 되지만 반려 동울로 인정하거 의인화 시켜서는 절되 안되는 것이다.
생명존중 좋은 이야기다.
그렇게 생명을 존중해서 인간들의 편의와 이기주의로 수많은 태아들이 사지가 찟겨서 죽어가고 있나 ?
그리고 살기가 힘드니 자식을 안낳겠다고 ?
그리고는 개나 고양이를 키워 ?
그리고 마음에 안들면 내다 버려서 길고양이, 길 개새끼를 만드나 ?
그리고 동울을 사랑하자고 ? "개가 고양이가 살고싶어요 ?" <--- 인간도 살고 싶다.
자 ~!! 결론을 내리자면 ...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 형제가 몇이나 되오 ?
아니면 자식을 몇이나 낳았소 ?
혹시 엄마 또는 아빠가 혈연이 아니지는 않소 ?
만약.... 내 집에 예쁜 동생 또는 자식의 아기가 하나 더 있다면 집안에서 절대로 개나 고양이 같은 동물을
키우며 정을 주지는 않을 것이다.
동물을 사랑하기 전에 인간부터 서로 사랑 합시다.
내가 태어나기 위하여 죽어 갔던 수많은 인간의 영혼들을 사랑 합시다.
가능한 임신한 아이들은 무조건 낳아서 키웁시다.
가능한 가족의 개념을 동물을 제외 하고 혈연의 관계를 만듭시다.
아무리 살기가 힘들고 어려워도 자식 많이 낳고 이혼하지 맙시다.
비싼 돈들여가며 애완동물을 키우는 것보다 인간의 꽃을 키우는 것이 백배 천배 이득이요.
** 끝까지 읽어 주셔서 고맙소.
** 반말해서 미안하고.
** 주인장은 읽으셨을 테니 기분 나쁘면 지우시오.
-- 김삿갓 -- -
보자보자하니까 2008.09.20 11:24
솔직히 나도 고양이한테 먹을 거 줘 본적있는데 그다음부터자꾸 따라오더라.
그 고양이가 내가 좋아서 그랬던 아니면 그냥 먹을거나주는 그럼 놈이라고 생각했든 상관없다.
고양이는 처음부터 도둑고양이로 태어나는 애들은 없다.
태어나서 인간의대접도 잘 못받고 이상한 환경에서자라나서 도둑고양이가 된거지.
실제로 도둑고양이가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일은없다.
오히려 인간들을 보면 고양이가 도망치는 것 뿐이지.
그런 고양이를 안타깝게 여겨서 잘 돌봐주었고 그랬던 고양이가 차에 치어 세상을떠났다.
여기서대체 글쓴이를 욕하거나 이글에 부정적으로 댓글을 남기는 놈들은 뭐냐
다른데가서 노는 건 괜찮은데 진짜 사람인이상
이런 글에서는 진지해지자.
진지하든 재미있든 기괴하든 어떤글이든 간에 다 이상한 글올리고 다니는놈들.
너희들이로드킬당해봐라.
얼마나 원통하고 분하겠냐.. -
lbluedevils 2008.09.20 16:43
스스로 살지 못하는 생명체는 죽는게 당연하고, 그로인해 개체수가 조정되는게 자연의 순리이다 ?
과연 먹을게 없어 죽어가는 난민을 돕고,
스스로 생산활동을 하지 못하는 노인들을 돕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행동을 비난할 수 있는 사람이 여기 있을까.
그들에게 지구상의 인구 개체수를 줄여야하니 스스로 살아남지 못해 굶어죽는건 자연의 순리 운운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인간은 같은 인간들에게는 절대로 적용하지 않는 법칙을
자기와 다른 종에게는 적용한다는 말이다.
고양이든 개든 동물이든 개체수가 늘어나면 생겨나는 사회적 문제를 무시하자는 말은 아니다.
그 문제 라는것도 결국 '인간에게 생기는 피해' 일 뿐이지만...
인간에게 일어나는 사회적 문제들을 어떤 방식으로 해결해야 하더라도
결국 '인간이 주인이고 우리는 다른 동물의 개체수를 관리하고 조절할 권리가 있다' 라고 생각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인간과 동물은 결국 함께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서로 좋은 방법을 찾아야 한다' 라는 생각에서 시작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요즘은 동물을 자신의 소유물 정도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대체로 진심으로 동물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사람도 사랑한다.
저 글에서 느껴야 할 것은 결국 한번쯤 서로 더불어 사는법을 생각해 보자는 것이 아닐까. 그게 동물이든 사람이든. -
-
-
춘향이 2008.09.25 15:05
두서너달 전에(아가 고양이였음. 남들 말론느 생후 2개월 쯤 됐을거라고..) 비맞고 있는 길냥이가 불쌍해서 집에 데려와서 기르고 있는뎁;; (이름이 그냥 "냥이"이에요 ㅎㅎ) 저 길냥이 보니까~ 우리 냥이도 저렇게 될뻔 했구나 싶어요. 전엔 걍 죽었구나.. 싶었는데 지금은 마음이 안좋네요. ...
-
m 2015.04.28 15:12
동물을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 인간도 사랑할 줄 압니다. 인간도 동물입니다. 당신의 말씀, 그럴 듯 하긴 하면서도 그 건 아닌 것 같네요. 이 세상의 비극들은 생명을 중시하지 않고 하찮게 여기는, 많지 않은 인간들에게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하찮다고 여기는, 가여움에 처해진 작은 생명체를 안타까워 도와주고 보호해주고 하는 사람들이 과연 피를 보길 좋아할까요? 다시 한번 말씀 드리건데, 인간을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 결국 동물도 사랑합디다. 세상은 지금 이 순간도 하찮은 생명체를 사랑하고 가여워하는 수많고 수많은 착한이들 때문에 존재되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기 바랍니다. 하찮다는 소리를어쩔 수 없이 여러번 저도 했습니다만 , 사실 이 세상에 하찮은 생명이 어디 있겠습니까? 내 목숨과 삶이 중요한 것 처럼요. 이 글은 위, '헉'이라는 닉과 그외 몇몇 부정적 측면의 의견을 보인 분들에게로의 댓글입니다. 댓글에 댓글로 올라야 되는데 그렇게 되지가 않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