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방'이란 말 어디서 유래했나

|


‘다방’이란 말 어디서 유래했나


추사가 반했다는 초의선사의 차맛은 어떤 맛이었을까.

추사는 기꺼이 그 맛을 전수받기 위해

동갑내기였던 초의선사 문하생이 되었고,

다산과 함께 차와 선은 하나다, 라는 다선일체(茶禪一體) 사상을 확립하게 되었다.

애당초 초의는 차와 선과 시를 모두 하나로 보았다.

문헌상에는 차가 우리나라에 처음 전래된 것이

가야국 김수로왕 때 허황옥이 차 씨앗을 가져왔다는 기록이 <삼국유사>에 전한다.

신라시대 선덕여왕 때 전래했다는 설과 흥덕왕 때 당나라에서 들여왔다는 설도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차를 재배한 시배지는

많은 학자들이 지금의 하동 땅 화개를 말하고 있다.

조선시대 초의선사는 화개에서 나는 차가 중국의 차보다 맛이 뛰어나다고 했으며,

추사 선생도 화개차가 중국의 차보다 질이 훨씬 낫다고 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 민족이 차를 가장 즐겨 마시고,
차의 위상이 가장 높았던 시기는 고려시대로 보인다.

오죽하면 일상다반사(日常茶飯事)라는 말이 있었겠는가.

‘일상다반사’는 차를 마시거나 밥을 먹는 것처럼 예사로운 일을 뜻한다.

과거에는 그만큼 차를 마시는 일이 밥을 먹는 것처럼 일상적인 일이었다.

사원 주변에 다촌(茶村)이 번성한 것도 고려 때의 일이다.


고려시대 조정에서는 차를 관장하는 ‘다방(茶房)’이 있었는데,

연등회나 팔관회 등 국가행사가 있을 때마다

다방에서 집례관이 나와 임금과 신하에게 차를 올리는 진차의식(進茶儀式)을 올렸다.

다방의 관원들은 임금이 궁 밖을 행차할 때도

언제나 다구를 챙겨 수행하였다.

고려시대의 다방은 조선시대 초기에도 ‘다례’의 모델이 되었으며,

현대에 이르러 찻집을 일컫는 ‘다방’이라는 말 또한

바로 고려시대의 ‘다방’에서 유래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나라의 차문화가 위기를 겪기 시작한 것은

조선시대 들어 억불정책을 실시한데다

결정적으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 나서인 것으로 보인다.

두 전란을 겪으면서 먹을 밥도 없는데, 차를 마실 여유가 있을 리 만무했다.


거의 피폐화된 차문화를 부흥시킨 장본인이 바로 초의선사였고,

추사와 다산이 이를 확산시켰다.

그러나 다시 일제시대에 접어들어 우리의 차문화는

일본식 다도로 오염이 되고 말았다.

사무라이 차 받아마시듯 무릎 꿇고 찻잔을 높이 들었다 입으로 가져가는

다도는 일본식 다도인 것이다.

우리의 다례는 형식보다 그것을 통한 자기 수양과

편하게 차 본래의 맛을 즐기는 것이 우선하였다.


* 구름을 유목하는 옴팔로스:: http://gurum.tistory.com/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