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름 명절 음식에 담긴 의미

|
 

대보름 명절 음식에 담긴 의미


정월 대보름 명절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 오곡밥과 나물반찬, 부럼이다. 이밖에도 대보름날에는 과거 약밥과 복쌈, 국수도 대보름 명절 음식으로 해먹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오곡밥의 오곡은 찹쌀, 찰수수, 팥, 차조, 콩 등으로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조선시대까지 오곡은 쌀, 보리, 콩, 피, 기장이었다. 이런 내용은 <세종실록지리지>에도 나오는 내용이다. 다만 지역에 따라 조나 밀, 녹두를 쌀이나 콩 대신 넣는 곳도 있었다.

오곡밥의 오곡 중에 쌀이 찹쌀로 바뀐 것은 조선시대 이후로 보인다. <동국세시기>에는 신라시대의 정월 보름날은 까마귀의 제삿날이라 하여 약밥을 지어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대보름날 오곡밥과 약밥을 따로 구분해 지어먹은 것으로 보이는데, 현대에 이르러 약밥의 재료인 찹쌀을 오곡밥에 넣어 오곡밥 하나로 대보름 명절 음식을 간편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약밥에는 대추와 밤, 잣을 찹쌀과 섞어 꿀과 간장, 참기름을 넣어 비벼낸 음식으로 손이 많이 가고 시간이 오래 걸려 자연스럽게 오곡밥만으로 대보름 음식을 대신하게 된 셈이다. 과거 오곡밥을 먹을 때는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건강하고 운이 따른다고 하여 여러 집을 다니며 밥을 나눠먹었다. 대보름날에는 아홉 번 밥을 먹는다는 얘기도 그 때문에 나온 말이다.

오곡밥은 묵은나물과 함께 먹었다. 묵은나물은 호박고지, 박고지, 가지, 말린 고사리, 시래기, 각종 버섯과 무채, 콩나물 등을 데쳐서 무쳐먹었다. 이렇게 묵은나물을 먹으면 그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말도 전해오는데, 이는 겨우내 부족했던 비타민과 영양을 보충하기 위한 최선책이나 다름없었다. 지금처럼 먹을것이 넘쳐나는 시대에는 반대로 이것이 다이어트 식품이나 다름없으니, 예나 지금이나 묵은나물은 먹어서 나쁠 것이 없었던 셈이다. 과거에는 오곡밥과 나물을 먹고 난 뒤, 생구로 불리는 소에게도 이 오곡밥과 나물을 먹였는데, 소가 오곡밥을 먼저 먹으면 풍년이 들고, 나물을 먼저 먹으면 흉년이 든다고 하여 이로써 흉풍을 점치기도 하였다.

대보름에 먹는 또 하나의 음식이 부럼이었는데, 이는 주로 밤과 호두, 잣, 땅콩, 은행 등이 재료가 되었다. 이것을 깨물면 한해 동안 부스럼이 생기지 않고, 이가 튼튼해진다고 하였다. 이는 아마도 과거 영양 상태가 좋지 않은 시절에 가뜩이나 먹을 것이 부족한 겨울을 보내다보면 몸에 종기나 버짐이 생길 수도 있어 고단백 식품인 호두나 잣 등으로 영양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부스럼도 방지하고자 했던 슬기로운 비책으로 여겨진다.

이밖에도 정월 대보름에는 복쌈이라 하여 김이나 배추잎, 참취잎 등으로 밥을 싸서 먹었다. 이 복쌈은 툇마루에 상을 차려놓고 성주신에게 올리며 복을 기원하였다. 대보름 별식으로 국수도 먹었는데, 이것을 ‘명길이 국수’라 불렀다. 국수발처럼 길게길게 명을 이어달라는 기원이 담긴 뜻이다. 보름날 아침에는 오곡밥과 묵은나물과 함께 귀밝이술도 마셨다. 귀밝이술은 반드시 차게 해서 마셔야 했는데, 찬술이 정신을 맑게 해주고, 맑은 정신은 귀를 밝게 해준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 구름을 유목하는 옴팔로스::  http://gurum.tistory.com/
And